- 0
- CoinNess
- 20.11.02
- 1
- 0
[서울·워싱턴=뉴시스] 이혜원 기자, 이윤희 특파원 = 미국 경기침체 우려로 뉴욕증시가 급락한 10일(현지 시간) 백악관은 투자심리와 실제 기업 상황 간 차이가 있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백악관공동취재단에 따르면 백악관 관계자는 이날 증시 하락 관련 질문에 "주식시장의 동물적 영혼(투자심리)과 실제 기업 및 기업 지도자들에게서 나타나고 있는 상황 간에 뚜렷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경제에 어떤 일이 펼쳐질지에 대해서는 후자가 전자보다 더욱 의미 있다"고 강조했다.
증시가 급락했으나 이는 실제 경제 상황과 차이가 있는 것이며, 중장기적으로도 경제에 문제가 없을 것이란 주장이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도 CNBC 인터뷰에서 "앞으로 경제에 대해 매우 낙관적인 이유가 많지만, 확실히 이번 분기 지표에 약간 변동이 있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1분기엔 플러스 영역에 근접할 것이고, 2분기 감세 정책 현실을 모두가 알게 되면서 급격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도 성명을 내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업계 지도자들은 관세, 규제 완화, 미국 에너지 활용이라는 미국 우선주의 경제 정책에 수조 달러 규모 투자 약속으로 대응해 수천 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홍보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8%,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69% 하락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장중 5% 넘게 급락해 2022년 9월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낸 뒤, 4% 하락으로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이날 하락세를 이끈 미국 대표 기술 기업 7곳 '매그니피센트 7'은 총 시가총액이 하루 사이 총 7590억달러(1107조3810억원) 증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세적 관세정책을 이어가는 가운데, 전날 방영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경기침체에 대한 질문에 "지금은 전환의 시기"라며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이 시장에 불확실성을 더했다는 분석도 있다.
조지 마테요 키웰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월스트리트저널에 "(트럼프 대통령 발언보다) 더 큰 의문점은 무역 정책의 미래 방향"이라며 "관세 자체보단 계속 번복하는 성격이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ey1@newsis.com, sympathy@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