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251
  • 0





[세종=뉴시스] 이승재 기자 = 코로나 시대 국제 금융시장의 주요 위험 요인과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은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 과정에서 선진국과 신흥국 간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자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2021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2013년 처음 열린 이후 올해로 7번째를 맞은 이 회의는 세계 경제 위험 요인 등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함께 찾는 토론의 장으로서 역할을 해왔다.

이날 행사는 최근 코로나19 방역 상황을 고려해 해외 연사와 참석자 등은 모두 영상으로 참여했고, 국내 주요 인사 등 일부 청중만 현장에서 회의를 진행했다.

― "세계 경제 회복 위해 G20이 소통창구 돼야"
개회사는 이억원 기재부 1차관과 홍장표 KDI 원장이 맡았다.

이 차관은 "세계 경제, 국제 금융 시장에 국가 간, 국가 내 부문 간 불균등 회복 등 위험 요인이 상존하고, 기후변화, 디지털 경제 전환 등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과제가 있다"고 발언했다.

그러면서 "세계 경제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G20이 신속한 백신 보급, 질서 있는 정책 기조 전환에 대한 합의를 도출해 내는 소통 창구가 돼야 한다"며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팬데믹 대응 역량 강화, 디지털세 도입,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 논의 및 양극화 해소에 있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원장은 "선진국의 경제 회복 속도는 빠른 반면 신흥국은 예상보다 회복 속도가 더딘 상황"이라며 "이런 격차는 세계 경제 성장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G20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글로벌 경제의 균형적 회복을 위해 코로나 시대의 국제공조 방안을 고민하고 만들어 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제프리 프랑켈 하버드대 교수는 최근 국제 금융시장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세계 경제의 불균형 회복'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그는 앞으로 세계 경제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선진국의 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 정상화로 인한 신흥국 채무위기 재발 가능성, 신흥국 소득 증가세 둔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대응 실패 우려 등을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흥국 재정 건전성 및 금융 안정성 제고 노력, 미·중 무역장벽 상호 제거와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맞는 탄소국경세 도입 등 자유무역체계 복원, 백신접종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프랑켈 교수는 "저소득국의 백신 접종은 코로나19 확산이 국제적 상호 의존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코로나19가 어느 한 곳에라도 남아있다면 누구도 안전할 수 없다"고 전했다.



― "세계 경제, 단기적으로 선진국 중심 강한 회복세 보여"
이날 회의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국가별 불균형 경제 회복, 주요국 거시경제 정책 기조 변화 전망 등 위험 요인이 국제 금융 시장에서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점검했다.

아이한 코제 세계은행 개발·전망 국장은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제가 단기적으로 선진국 중심 강력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향후 10년간 성장세가 약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책 우선순위를 팬데믹 통제, 물가 안정, 재정 건전성 확보, 녹색·포용 성장 등에 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마커스 브루너마이어 프린스턴대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신흥국을 중심으로 급격한 자본 유출이 발생했다"며 "자산가격 버블 우려가 큰 상황에서 향후 미국의 통화 정책 전환 시 신흥국 자본 유출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디지털 경제 전환 가속화 과정에서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디지털화폐가 국제 금융 체제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윤성관 한국은행 전자금융부장은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GSC)은 거시경제적 측면에서 민간의 통화 창출 기능이 생기고 그에 따라 각국 통화 주권이 제약받을 위험이 있다"며 "GSC가 가상자산의 가격 변동성 문제를 완화했으나 현재까지는 실생활에서의 활용도가 낮고 환금 보장이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캐롤라인 말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블록체인·조세 수석 고문은 "디지털화폐는 송금 절차 간소화, 송금 비용 절감 및 금융 접근성 제고 등 긍정적 면이 있다"며 "거시 경제적 영향, 자금세탁 방지, 과세 방안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진 마지막 세션에서는 코로나19로 촉진된 디지털·그린 경제 전환 등 경제 구조 변화가 앞으로 국제 금융 체제와 시장에 미칠 영향을 전망했다.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조사국장은 "금융시장에서 비은행 금융기관의 달러 조달 비용 급증이 주요 거시금융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통화기금(IMF)과 BIS의 정책 프레임 워크를 활용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마틸드 메스나드 OECD 금융기업국장 권한대행은 "현재의 위기는 생산성 저하, 실업과 같은 구조적 문제를 야기했다"며 "정책 기조가 위기 대응에서 경제 회복으로 전환됨에 따라 회복력,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기재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제시된 정책 제언을 검토해 오는 10월 개최 예정인 G20 재무장관회의와 정상회의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russa@newsis.com


출처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907_0001575560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