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5
  • 0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밭농업에 사용되는 농업기계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밭 농업 기계화 지원을 2023년 6개 시·군에서 올해 15개 시·군으로 확대하고 관련 예산을 올해 82억원(64%)으로 늘린만큼 향후 밭 농업기계 보유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 '주요 농업기계 보유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농업기계 보유 현황조사는 통계법 제3조 및 제18조에 의한 승인 통계로 농업기계 관련 정책에 활용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주요 농업기계 16종의 보유 현황은 트랙터 31만2000대, 콤바인 7만3000대, 이앙기 17만1000대, 관리기 45만4000대 등 총 196만4000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대비 2만1000대(1.1%) 증가한 수치다.

10년 전인 2013년과 비교하면 벼 재배면적 감소 및 영농 규모 대형화에 따라 콤바인, 이앙기, 경운기 등은 감소했고 밭농업 기계화 촉진에 따라 밭 농업에 주로 사용되는 트랙터, 관리기, 스피드스프레이어, 파종기, 정식기 등은 증가했다.

2016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던 폐농업기계 보유수도 지난해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 폐농업기계 수는 1만2431대로 전년 11만851대 대비 580대 증가했다. 농용트랙터가 368대, 스피드 스프레이어 258대 등의 증가세를 보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 인력감소와 고령화의 위기에서 농업기계 보급 확대 및 기계화율 제고는 중요한 과제"라며 "농업기계 보유 현황을 활용한 효율적인 농업기계화 정책 추진으로 기계화율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