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8
  • 0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중 절반 이상이 하나 이상의 지주회사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지주회사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13개사가 지난해 1764억원의 신규 벤처투자에 나섰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6일 이런 내용의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 및 일반지주회사 소속 CVC 현황'을 분석·공개했다.

지난해 말 기준 지주회사는 174개로 1년간 2개 늘었다. 2017년 자산요건이 1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상향됐지만 전체적인 규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지주회사에 소속된 자·손자·증손회사는 총 2462개다. 지주회사별로 평균 14.2개 소속회사를 지배하고 있다.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88개) 중 46개의 집단이 기업집단 내 하나 이상의 지주회사를 갖고 있었으며, 그중 43개 대기업집단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대기업집단 중 '현대백화점', '오씨아이', '동국제강'이 추가로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했다. 지주회사 체제의 '원익'과 '파라다이스'는 올해 대기업집단으로 새롭게 편입됐다.

전체 지주회사의 평균 부채비율은 43.2%고 일반지주·자회사의 자·손자회사에 대한 평균 지분율은 각각 69.0%(상장 40.7%, 비상장 85.4%), 83.3%(상장 46.7%, 비상장 86.1%)로 조사됐다.


일반지주회사 CVC는 총 13개사였다. 지난해 10개사 대비 3개사가 증가했으며 이 중 10개사(76.9%)가 일반지주회사의 CVC 제도 도입 이후 신규 설립된 CVC였다.

공정위는 앞서 2022년 벤처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일반지주회사도 금융회사인 CVC를 보유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 바 있다.

CVC 13개사 중 10개사가 총 63개의 투자조합을 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투자조합 중 17개 투자조합이 해당 CVC가 지주체제로 편입된 이후에 설립됐으며 그중 13개 투자조합은 지난해 새롭게 설립됐다.

신규 설립된 투자조합의 총 약정금액은 3637억원으로 전년(2698억원) 대비 34.8%나 증가했다. 내부출자비중은 79.1%였다. 지주체제 내 유보자금이 CVC를 통해 벤처투자 시장으로 흘러간 것으로 풀이된다.

CVC 13개사 중 9개사가 지난해 101개 기업에 대해 총 1764억의 신규투자를 수행했다. 신규투자금액은 전년(2118억원) 대비 줄었으나 투자 건당 투자금액은 12억4000만원에서 13억2000만원으로 늘었다. 전체 신규투자 금액 중 해외투자 규모는 총 145억원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이차전지 등 전기·기계·장비(27.8%) 투자가 가장 많았으며, 인공지능(AI), 페이먼트 서비스 등의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21.6%), 바이오·의료(13.0%)가 뒤를 이었다.

공정위 관계자는 "앞으로 제도 운영 과정에서 확인된 제도상 미비점 등을 보완하는 등 규제 합리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지주회사 및 CVC 제도가 지배력 확장 및 사익편취 수단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규제회피나 법위반 여부를 면밀히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arming@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