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3
- 0
최상목 부총리는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미국·중국 등 주요 공관에 파견된 재정경제금융관들과 영상화의를 주재하고 "당분간은 상호관세의 충격이 일정 부분 줄어들었다. 유예기간 동안 각국의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미국과 협의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날 새벽(현지 시간 9일 오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전날 오후 2시1분(현지시간 9일 오전 0시1분)부터 발효됐던 상호관세가 약 석 달간 유예된 것이다. 이에 따라 25%의 관세가 책정됐던 한국도 당분간은 전세계 국가들과 똑같이 10% 관세를 부과 받게 됐다.
이와 관련해 최 부총리는 재경관들에게 "유예 기간 우리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선 재경관들의 적시성 있는 정보 제공과 가감 없는 정책 제언이 중요하다"며 "현지 동향을 면밀히 관찰해 수시로 보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최 부총리는 재경관들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등 한국 정치 상황에 대해 "주재국에 우리 민주주의와 경제시스템이 굳건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적극 알려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미국·중국·유럽연합(EU)·프랑스·영국·스위스·러시아·아세안·태국·베트남·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11개국(국제기구 포함) 재경관들이 참석했다.
재경관들은 미국·중국 등 주요 공관에 파견돼 본부와 주재국 정부 간 경제·재정·금융협력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재경관들은 회의에서 각국의 다양한 대내·외 조치를 공유했다. 대내적으로는 각국 정부가 관세조치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 피해업종 자금지원, 상담창구 설치 등 지원책 마련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대외적으로는 국가별로 '강경 대응' 노선(중국 등)과 '협상 우선' 노선(일본·베트남 등)으로 나뉘고 있다고 보고했다.
특히 재경관들은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인용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헌법 절차에 따라 질서 있게 상황을 관리해 나가고 있는 데 대해 각국이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각국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양자 간 협력관계가 지속되기를 희망하고 있다"며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최 부총리는 "경제외교의 최일선에 있는 재경관들이 투철한 사명감을 가지고 국가신인도 사수에 최선을 다해달라"며 "한국의 경제·외교정책이 일관된 기조하에 추진되고 있음을 적극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ighton@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