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
  • 0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지금과 같은 자금 경색이 길어지면 우량 사업장이나 우량 기업도 자금조달 위기에 빠질 수 있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어요."

지난 8일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경기 관련한 뉴시스 취재진의 질문에 "한 사업장에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조달이 성사되지 않아 금리가 15%에 달하는 브리지론 연장을 신청할까 내부 검토에 들어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원자잿값 폭등으로 분양가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인데, 금리 인상으로 분양시장이 위축되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며 "분양가 상승으로 분양시장이 더욱 위축될까 건설사들도 속앓이를 하며 하루하루가 살얼음과 같다"고 토로했다.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붙으면서 건설업계에도 찬 바람이 불고 있다. 금리 인상 여파로 분양시장이 위축에 따른 미분양 물량 증가와 철근·콘크리트 등 원자잿값이 폭등하고, 레고랜드 사태로 단기자금 시장이 경색까지 맞물리면서 건설경기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일각에선 상대적으로 자금조달 능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건설사가 '줄도산'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레고랜드발 PF 보증 우발채무 위험 확산으로 건설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해까지 금리가 낮다 보니 증권사와 보험사, 저축은행과 같은 금융회사들이 앞다퉈 PF사업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올해부터 금리가 꾸준히 인상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연말까지 약 34조원 규모의 만기가 돌아오는데, 이를 막지 못하면 건설사와 금융회사들이 줄도산 위기에 처할 수 있다. 실제 충남 지역의 중견 건설업체인 우석건설은 지난 9월 납부 기한이 도래한 어음을 결제하지 못하면서 1차 부도 처리됐다.

금리 인상에 따른 주택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미분양 물량은 급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4만1604가구로 집계됐다. 전월(3만2722가구) 대비 27.1%(8882가구) 급증했다. 수도권은 7813가구로, 전월(5012가구) 대비 55.9%, 지방은 3만3791가구로 전월(2만7710가구) 대비 21.9% 증가했다. 또 지난달 경기도 안성시와 양주시가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신규 지정됐다. 미분양 상황이 장기화하면 투자금 회수가 어려워 중소건설사들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다.

또 철근·콘크리트 등 원자잿값이 고공행진하면서 분양가에서 건축비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8월 서울에서 분양한 민간 아파트 분양가에서 건축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61%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높은 비율이다. 지난해에만 해도 서울 아파트 분양가에서 건축비 비율은 40~50%대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47.39(잠정치)로 전년 동월(135.08) 대비 9.1% 상승했다. 건설공사비지수는 공사에 투입되는 자재·인건비 등을 포함한 공사비 변동을 나타내는 수치다. 공공 건설공사비 산정이나 물가변동에 의한 계약금액 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건설공사비지수 상승폭(전년 대비)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7월까지 15개월 연속 10% 이상을 웃돌았다. 공사비 인상 폭도 가파른 데다, 장기화한 것이다. 금리 인상에 따른 건설사들의 금융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원자잿값 인상으로 수익성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건설업계의 체감경기는 9년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는 전월보다 5.7p(포인트) 하락한 55.4를 기록했다. 이는 2013년 2월(54.3)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급등과 원자잿값 폭등 여파에 자금 경색까지 겹치면서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됐다고 평가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원자재값 급등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에 따른 자금 경색 등의 영향으로 건설업계가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연말 금리가 추가로 인상되면 부동산 시장인 전체적으로 더욱 얼어붙고 약세가 심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금리가 오르면 올라가면 건설사들의 자금조달 금리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이자율이 올라가면 기존 사업장도 부도 나고, 금융기관이 PF를 줄이거나 중단할 가능성 커진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