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9
  • 0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정부가 1기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기준을 발표하면서 정비계획의 윤곽이 드러났다. 올해만 2만6000가구+α, 최대 3만9000가구 규모의 '1호 재건축' 단지가 선정될 계획이다.

선도지구로 지정되면 패스트트랙이 적용되는 만큼 재건축 시장을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23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선도지구 규모는 분당 8000호, 일산 6000호, 평촌·중동·산본 4000호로 총 2만6000호지만 각 지역별로 1~2개 구역을 기준 물량의 50% 이내로 추가 선정이 가능해 최대 3만9000호까지 선도지구로 선정할 수 있다.

11월 중 선도지구를 최종 선정하고, 2030년 입주를 목표로 2027년 착공에 들어간다는게 국토부와 지자체들의 계획이다. 통상 재건축 사업은 빨라야 10년이 소요되는데, 정부의 계획대로 된다면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로 새 집이 지어지는 것이다.

규제 완화로 절차가 간소화되는 등 사업 속도는 빨라질 수 있겠지만 문제는 분담금이다. 건설 자잿값,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한 분담금 부담에 정비사업 시장이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매수세도 떨어져 올해 선도지구가 선정될 예정임에도 1기신도시 집값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주택가격동향을 보면 성남시 분당구는 지난해 12월부터, 고양시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는 지난해 11월부터 집값이 하락 중이다.

특히 분당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시세가 낮아 분양가를 비싸게 받기 어려운 일산·평촌·중동·산본 등 나머지 신도시는 조합원들이 느끼는 분담금 부담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사업성이 뛰어난 일부 지역과 단지로 수요가 쏠릴 전망이다. 서울의 경우에도 압구정·목동·여의도 등지의 재건축 아파트는 신고가가 나오고 있지만 소형평형 위주라 대지지분이 적은 노원구 단지들은 최고가 대비 65% 수준에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전문가들도 1기신도시 정비사업의 핵심이 결국 조합원들의 분담금 부담 여력에 달려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지역적, 국지적으로 차별화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11월 선도지구 선정 전까지는 매수세나 가격에 크게 영향이 없을 것이고, 재건축 단지가 선정되면 매물이 들어가고 호가가 올라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프라와 교통 환경 등이 가장 좋은 분당은 괜찮겠지만 다른 지역은 공사비가 이렇게 계속 올라가는 상황에서 용적률을 많이 올려주지 않는 이상 사업성이 나올지는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선도지구에 들어간 곳은 순번이 앞인 만큼 단 돈 만원이라도 시세에 반영되는 것이 자연스럽다"며 "다만 과거와 달리 재건축 사업의 인허가는 문제가 되지 않겠으나 개별 조합원들의 자금 여력, 즉 추가 분담금을 얼마나 감당할 수 없느냐가 관건이고, 사업 추진 속도가 부촌 중심으로 두드러질 여지가 크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