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8
  • 0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쌀과 토종 유산균을 활용한 쌀유산발효물이 대장염과 과민성장증후군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이를 활용한 쌀 소비 촉진과 식품 소재 연구 확대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은 26일 우리쌀과 전통 된장에서 분리한 토종 유산균(JSA22)을 활용한 유산발효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를 이용한 생체 외 실험과 동물실험에선 대장염과 과민성장증후군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농진청은 식물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장 건강 개선을 위한 발효 종균 및 원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을 고려해 쌀의 새로운 용도를 창출하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이번 연구를 추진했다.



농진청 연구진은 대장 염증을 유발한 실험 쥐에 쌀 유산발효물을 6일간 먹였을 때 질병활성도(DAI)가 21% 개선되고 혈변이 73% 감소했으며 염증성인자(IL-6)도 40% 줄어 대장염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 과민성장증후군 환자가 쌀 유산발효음료를 1일 150㎖씩 4주간 섭취하자 음료를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복부 팽만감 정도가 2.3배 감소하고 장내 가스 생성을 줄이는 유익한 미생물이 1.5배 증가하는 등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박정호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발효식품이 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지만 일부 유(乳) 발효식품은 과민성장증후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며 "쌀 유산발효물은 장내 유익균을 늘려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의 복부 불편감을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농진청은 앞으로 쌀의 새로운 용도 개발을 위해 첨단 식품 기술(푸드테크)을 이용한 바이오소재 개발 연구로 식용·비식용 분야의 산업화 확장에 힘쓸 계획이다.

쌀유산발효물 기술을 이전한 13개 업체를 중심으로 구성된 쌀 가공협의체 협의회와의 협력을 강화해 쌀유산발효물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향후 콩, 메밀, 수수 등 다소비 식량작물과 유용균주를 적용한 연구로 새로운 기능성 신소재를 발굴한다는 구상이다.

곽도연 국립식량과학원장은 "쌀은 일반식품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관련 산업 소재로도 활용 가치가 높은 작물"이라며 "앞으로 쌀이 식사용에서 벗어나 한층 다양하고 기능성을 갖춘 건강 산업 소재로 활용돼 식량작물 소비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