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48
  • 0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빠르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물류 환경 속에서 향후 10년간 물류산업 발전을 위한 새로운 청사진이 제시된다. 물류산업 매출액을 92조원에서 140조원까지 키우고 물류 경쟁력지수는 세계 25위에서 10위권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가 공동 수립한 '제5차 국가물류기본계획(2021~2030)'이 1일 국무총리 주재 '제128회 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논의, 확정됐다.

물류산업은 4차에 걸친 국가물류기본계획에 따라 우리 경제의 원활한 흐름을 뒷받침하는 핵심 서비스 산업으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아직도 영세한 규모로 인해 변화에 대응이 더디고, 청년이 선호하지 않는 일자리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이 일상화됨에 따라 물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디지털 전환 요청 등 변화의 요구가 큰 상황.

이에 5차 계획에서는 '물류산업 스마트·디지털 혁신성장과 상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글로벌 물류 선도국가 도약'이라는 비전을 세웠다.

물류산업 매출액은 92조원에서 140조원, 국가 물류경쟁력 지수(LPI)는 25위에서 10위권, 정보기술(IT) 활용지수는 39.6에서 66.1, 물류 일자리는 64만5000명에서 97만명까지 개선시키는 게 목표다.

6대 추진 전략과 19대 세부과제도 제시했다. 중단기적으로 주요성과 시급성이 높은 사항은 10대 핵심추진과제로 선정해 보다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마련했다.

▲스마트 물류시스템 및 디지털 전환 ▲공유·연계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사람중심 일자리 및 고품격 물류 서비스 ▲지속가능한 물류산업 환경 조성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시장 체질 개선 ▲글로벌 시장 전략적 진출 확대가 추진 전략이다.

핵심 추진과제로는 ▲자율주행시대 대응 위한 물류체계 구축 ▲효율적 스마트 도시물류시스템 선제적 구축 ▲콜드체인 물류 활성화 및 안전성 제고 ▲유통·제조·플랫폼산업 선도하는 물류체계 구축 ▲물류 표준화·디지털화 확산 및 국가물류지도 구축 ▲국가물류의 균형성·다양성·회복력 강화 ▲시민참여형(크라우드소싱) 물류 확산 ▲지속가능한 철도물류 산업체계 구축 ▲첨단 기술기반 스마트 공·항만 구축 ▲친환경 해운물류 시스템 구축이 선정됐다.

이날 회의를 통해 확정된 이번 계획은 이달 초 관보 고시를 통해 대외 공표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출처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10701_0001496775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