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
  • 0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지난해 전국 합계출산율이 0.72명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합계출산율은 임신이 가능한 한 명의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수를 의미하는데요. 한 쌍의 남녀가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 셈이니 고령화가 얼마나 빠르게 진행될지 알 수 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에는 무려 4.53명에 달했지만 이후 빠르게 떨어져 1974년에 3명대, 1977년에 2명대, 그리고 1984년 1명대로 내려왔습니다. 지난 2018년에는 처음으로 합계출산율이 0명대에 들어섭니다. 당시 0.977명을 기록한 뒤 6년 연속 0명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출산율은 8년 연속 추락했습니다.

올해 0.7명 선마저 깨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합계출산율 전국 1위 세종시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022년 세종시 합계출산율은 1.12명으로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출산율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세종시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통상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지정된 2012년부터 정부 부처 이동이 시작돼 공무원들이 대거 이주한 것이 배경으로 지목됩니다.

정부부처와 연구기관들이 세종시로 이전하면서 2012년 15개에 불과했던 세종시 중앙행정기관과 연구기관 수는 2022년 63개까지 불어납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일자리로 평가되는 중앙행정기관과 연구기관 종사자도 5159명에서 1만9416명으로 늘었습니다. 중앙행정기관 소속 종사자 1만6087명, 국책연구기관 소속은 3329명입니다.

세종시 인구는 2012년 7월1일 출범 당시 시 전체 주민등록인구(외국인 제외)는 10만751명에서 10년 6개월 만인 2022년 12월 말 38만8927명으로 28만8176명(286.0%) 늘었습니다. 특히 정부청사 주변으로 꾸려진 신도시 인구는 5748명에서 29만7358명으로 29만1610명(5073.2%·약 50배) 증가했습니다. 조치원읍이 4만3770명에서 4만3966명으로 196명(0.4%) 늘고 9개 면 지역이 5만1233명에서 4만7603명으로 3630명(7.1%) 줄어든 것과 대비되는 모습입니다.

대전과 청주의 젊은 부부들이 세종에 자리를 잡은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시 출범 후 10년 사이 다른 지역에서 세종시로 순유입된 인구(전입자-전출자)는 26만4284명입니다. 이들의 직전 거주지를 살펴보니 충청권(대전·충남·충북) 16만7458명(63.4%)으로 수도권(서울·경기·인천) 6만2201명(23.5%)보다 많았습니다. 기타 지역도 3만4625명(13.1%) 수준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가임기 여성인구가 급증했습니다. 지난 2022년 여성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연령대별로 쪼개보면 전국 20~24세는 4.1명, 25~29세 24.0명입니다. 30~34세는 73.5명으로 가장 많고 35~39세 44.1명, 40~44세 8.0명으로 떨어집니다. 전국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서울의 25~29세 출산율은 9.9명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한 자릿수를 기록했습니다. 30~34세는 53.5명, 35~39세는 43.4명으로 더 적습니다. 반면 세종시의 25~29세 출산율은 40.4명으로 서울의 4배를 넘어섭니다. 30~34세는 112.6명, 35~39세 55.7명으로 서울뿐 아니라 전국 평균을 훌쩍 뛰어 넘습니다.

하지만 세종시 마저도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 0.97명을 기록하며 급격한 감소를 보입니다. 0.55명을 기록한 서울, 0.78명 경기 등 다른 시도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정부 부처 이전이 완료되고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대전·청주 등 젊은층 이전 감소가 결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대전시가 만 0~2세 영유아에게 월 30만원씩 지급하는 '대전형 양육기본수당'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을 펴고 있는 것과 달리 세종시는 적극적인 지원책을 펼치지는 않습니다. 최성은 세종연구실 책임연구위원은 '중앙-지방정부 간 저출산 위기 공동대응을 위한 세종시 정책 제안'을 통해 세종시도 합계출산율 변화 대응을 위해서는 관련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조언을 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자체 간의 경쟁보다는 국가 차원의 해결책이 절실할 것 같습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