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2
  • 0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지난해 등록된 반려견·반려묘가 전년대비 7.6% 증가한 329만 마리로 집계됐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늘고 동물복지도 개선되고 있지만 작년 한 해 가족에게 버림 받은 반려동물도 11만마리가 넘었다. 이중 약 24.2%는 분양했지만, 18.0%는 안락사(인도적 처리)됐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3일 '동물보호법 제94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에 따라 실시한 2023년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는 지방자치단체의 동물 등록,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현황 등이 담겼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개·고양이 누적 등록 개체수는 전년도 305만4000마리 대비 7.6% 늘어난 328만6000마리로 집계됐다. 지난해엔 27만1000마리가 신규로 등록됐다.

개는 지난해 25만7989마리가 등록됐다. 등록마리수로 놓고 보면 전년대비 3만2969마리(-11.3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이는 전년 1만1639마리 보다 1545마리 증가한 1만3184마리가 새롭게 등록된 것으로 집계됐다. 고양이 등록은 자율에 맡기고 있지만 동물 유실 방지 등을 위해 신규 등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 등록 대상인 개의 경우 목걸이형 등 탈착이 쉬운 지난해 외장형 신규 등록은 13만2000마리, 무선식별장치를 체내에 삽입하는 내장형 신규 등록은 12만5000마리로 외장형과 내장형의 격차가 크게 감소했다.



유실·유기동물의 발견 신고 및 구조는 2021년 이후 3년 연속 11만 마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엔 전년대비 0.3% 감소한 11만3100마리가 유실·유기동물로 발견돼 구조된 것으로 집계됐다.

유실·유기동물의 발견 신고 및 구조는 2019년 13만5791마리 이후 2020년 13만401마리, 2021년 11만8273마리, 2022년 11만3440마리, 2023년 11만3072만마리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지역별 유실·유기동물 현황을 살펴보면 세종은 588마리가 구조됐다. 전년대비 증가율은 34.2%에 달한다. 뒤를 이어 충북 4562마리(8.3%), 충남 8742마리(8.2%), 서울 5175마리(6.4%), 대구 4555마리(5.4%), 전북 9084마리(3.5%), 전남 9703마리(3.4%) 등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구조된 반려동물 중 4만4000마리(39.2%)는 소유자에게 반환되거나 입양·기증됐고, 3만1000마리(27.6%)는 자연사, 2만마리(18.0%)는 안락사 처리됐다. 1만5000마리(13.3%)는 지자체의 동물보호센터에서 보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구조동물의 입양 개체수는 전년대비 12.3% 줄어든 2만7000마리로 감소했다. 지난해 신규 등록 대비 입양 비율은 10.1%로 2022년(10.3%)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동물의 구조·보호를 위해 지자체가 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는 2023년 228개소로 전년대비 11개소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센터는 7개소 늘었고 종사 인력과 운영비도 전년대비 각각 10.1%, 26.8%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지자체가 직접 설치·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는 71개소, 동물병원, 동물보호단체 등 자체 시설에 운영을 위탁한 곳이 152개소, 지자체 시설을 이용하여 민간기관에 운영을 위탁한 곳이 5개소 등으로 나타났다.

지자체가 도심지나 주택가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해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한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은 전년 10만4434마리 보다 16.4% 증가한 12만1537마리에 대해 시행됐다.

길고양이 중성화를 위해선 지난해엔 226억8330만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며 마리당 평균 18만7000원이 소요됐다. 마리당 중성화 비용이 평균보다 높은 지역으론 충남 20만9000원, 세종 20만원 등이 꼽혔다.

반려동물 관련 영업장은 전년대비 6.8% 줄어든 2만575개소로 집계됐다.

동물 미용업이 8404개소(40.8%)로 가장 많았고 위탁관리업 4820개소(23.4%), 판매업 3154개소(15.3%), 생산업 2011개소(9.8%), 운송업 1477개소(7.2%), 전시업 541개소(2.6%), 수입업 94개소(0.5%), 장묘업 74개소(0.4%) 등이다.

이중 동물 장묘업은 매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료업은 2019년 44개소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엔 74개소로 늘어났다. 동물 장묘업이 많이 허가된 지역은 경기도(27개소), 경상남도(9개소), 경상북도(7개소) 등이다.

지자체에 적발된 동물보호법 위반행위는 1146건으로 전년대비 3.0% 감소했다. 주요 위반사항은 반려견과 외출할 때 목줄 착용, 인식표 부착 등 위반이 732건(63.9%)으로 가장 많았고 반려견 미등록은 81건(7.1%)으로 나타났다.

김정희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반려동물 양육가구 증가와 함께 동물정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라며 "앞으로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을 통해 제공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