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32
- 0
김 위원장은 3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한국은행-한국금융연구원, 공동 정책 콘퍼런스'에 참석, 특별 대담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부동산금융이 기업과 가계에서 많이 늘었다"며 "그동안 부동산 정책을 할 때 대출을 많이 엮었고, 이는 부동산금융이 빠르게 느는 하나의 요인이 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금융과 부동산 정책간 거리를 두고 중립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출 규제가 부동산 시장가격 안정에 기여한 부분이 있지만 제 인식과 경험에 의하면 다른 부분의 개선이 없다면 대출 규제가 부동산 시장 안정에 미치는 영향은 일정 기간에 그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정책의 방향을 바꾸고 고치는 과정에서 시장에 영향이 있고, 실수요자들에게도 영향을 줄 것"이라며 "어떻게 이 영향을 최소화하며 단계적으로 개선할 지를 고민하고 토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지분형주택금융을 언급하며 "지금까지 집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정책금융이 많이 활용돼왔다"며 "일정 소득 이하일 경우 이자 깎아주는 방식의 지원이 이뤄졌고, 최근 몇년간 많이 늘고 있는데 과연 가계부채 관리에 있어 이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식인지 고민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관계기관과 지분형 모기지 정책을 협의 중"이라며 "주택 구매 자금이 부족한 이들이 대출이 아니라 지분 형식으로 자본을 조달해 부채를 일으키지 않도록 정책금융이 활용되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주택금융공사 등이 지분을 공동으로 사고, 주금공 지분에 대해서는 이자보다 조금 낮은 사용료를 내도록 해 부담을 낮춰줄 수 있을 것"이라며 "집값이 오르고 집을 팔게 되면 지분대로 나누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6월까지는 구체적 로드맵을 발표하겠다"며 "시범적으로 먼저 해보고 시장의 수요 등을 테스트해본 수 반응에 따라 더 확대할 지, 체계를 바꾸는 수준의 변혁을 가져올 지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y@newsis.com, mymmnr@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