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6
  • 0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금융당국이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정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말 'PF사업장 정보공개 플랫폼'에 16개 사업장(금융권 익스포저 4000억원)을 추가로 공개했다.

금감원은 지난 1월 말 PF 사업장 매매 활성화를 위해 경·공매 플랫폼을 구축한 후 매월 업데이트하고 있다. 구축 당시 195개 사업장을 공개했고, 2월 말 174개 사업장을 추가했다. 3월에 16개 사업장이 추가되며 전체 리스트는 385개로 늘었다.

공개된 385개 사업장의 금융권 익스포저는 6조7000억원이다. 공개 대상 사업장의 대부분으로, 소송 등 불가피한 사유로 일부 사업장은 제외됐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정리 대상 PF 위험노출액 12조억원(상각 대상 5000억원 제외) 중 지난해 말까지 4조원 규모가 정리됐다. 지난해 연말까지의 목표인 4조3000억원에 다소 못 미치는 규모다.

올해 들어서는 경·공매 플랫폼 구축 이후 14개 사업장이 매각 협상 중이다. 이들 사업장의 금융권 익스포저는 5000억원 규모다. 총 1조3000억원 규모의 11개 중·대형 사업장도 매매계약체결이 구체화된 상태다.

금감원은 부실 PF 정리에 속도를 내기 위해 예금보험공사와 함께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공동 검사를 진행 중이다. 저축은행들이 금리 인하로 부동산 경기가 회복할 것을 기대하며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금감원은 지금까지 자산 규모 2조원 이상의 대형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예금보험공사 공동 검사를 해왔지만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급증함에 따라 규모와 관계 없이 공동 검사 대상을 확대해 PF 대출의 심사·승인·사후관리 등 여신 취급 프로세스와 관련된 내부통제 전반을 들여다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반기 중에 부실 PF를 최대한 정리하고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경·공매 플랫폼을 통한 정리와 더불어 사업장별 관리를 타이트하게 하고 있고, 저축은행중앙회 차원에서도 부실 PF 정상화 공동 펀드 구성하는 등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y@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YouTube Premium(유튜브 프리미엄) 월 4,500원 초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