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5
- 0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가 '금(金)사과' 대란에 대응해 올해 사과 생산량의 10%가량을 직접 관리하는 방안을 도입한다. 기존에 출하 시기를 정할 수 있었던 것에서 더 나아가 용도와 출하처까지 직접 지정한다.
출하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사과 계약재배물량을 전년보다 12% 늘린 6만t으로 확대하는데, 이 가운데 80%가 넘는 5만t을 이같이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이상기후로 사과 생산량이 전년보다 30%가량 줄면서 사과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데 따른 방안이다.
농식품부는 2일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중 하나로 이런 내용을 담은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과 5만t, 정부가 '직접' 컨트롤…사실상 '비축' 효과
기존의 계약재배는 정부가 농가와 계약을 맺어 해당 물량에 대한 출하 시기를 요청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번 대책에는 출하 시기뿐 아니라 출하처와 용도까지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내용을 담았다.
농식품부는 이렇게 직접 컨트롤이 가능한 물량을 연간 사과 생산량(49만t)의 10% 수준인 5만t까지 계획하고 있다. 민간소유지만 출하처를 옮기면서 가격 보전도 할 수 있도록 고려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박수진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기존의 계약재배는 정부가 시기만 지정하고, 어디에 출하하라고 까지는 할 수 없었다. 이번에는 계약재배 물량을 늘려서 이 중 일정 물량은 도매가격이 뛰고 있는 곳, 예를 들어 '안동 공판장에 출하해달라' 이렇게 요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시기와 출하처, 용도를 조절 가능한 물량은 거점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에 보관한다. 사과의 경우 전국에 APC가 있다. 사과는 수확 후 보관하면서 분산 출하하는 과일로 보관시설 인프라가 중요한 품목이다.
예를 들어 대형마트는 도매시장보다는 산지 APC에서 직접 계약으로 조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대형마트의 물량이 부족할 때 정부가 출하 물량을 소비지의 특정한 유통경로에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정부가 직접 사과를 매입해 비축하진 않지만 같은 효과를 낸다는 게 농식품부 설명이다. 또 별도의 비축시설은 인프라 조성에 시간이 걸린다는 걸림돌이 있다.
박수진 실장은 "정부가 실제로 소유하는 물량은 아니지만 좀 더 강화된 컨트롤을 행사할 수 있는 물량이라서 올해 같은 수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용도도 정부가 바꿀 수 있다. 가령 과잉 물량은 가공용으로도 일부 전환이 가능하다.
◆냉해 예방약제 보급…소비용 '작은 사과' 시범생산
최근 사과 재배면적은 증가 추세다. 단기적으로 재배면적이 부족하진 않지만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선 재해와 병해충에 대비한 생육 관리가 중요한 상황이다.
이에 농식품부는 지난 1월 민관합동 생육관리협의체를 구성했다. 올해 처음으로 사과·배 재배지를 대상으로 냉해 예방약제를 보급했다. 미세살수장치·방상펜 등 냉해 예방시설도 올해부터 사용할 수 있도록 지난달까지 설치를 완료했다.
이달 중에는 냉해를 특별 관리하고, 이후 가뭄과 탄저병 등 시기별로 위험요인을 관리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일상 소비용으로 '작은 사과'의 시범 생산을 추진한다. 공급을 늘리기 위해 올해 1만t을 생산할 예정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기후변화는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고 지금 우리 앞에 직면한 현실"이라며 "전 국민이 국산 과일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올해 생육 관리와 중장기 생산 체계 전환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유통 구조 개선, 소비 흐름 반영 등을 통해 국산 과일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rainy71@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