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4
- 0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건설투자는 단기적 내수 경기 활성화와 장기적 성장 동력 마련 수단으로, 건설시장 안정화 유도를 위한 '공급·수요·재원'의 총체적 확대 및 내수 경기 활성화 방안 마련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나경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연구위원)은 9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 2층 중회의실에 열린 '2024년 건설시장 및 건설산업 정책 진단 세미나'에서 '건설투자 활성화 및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주제로 단기 경기 활성화와 장기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건설투자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 실장은 "건설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 방향으로 내수 경기의 중심축으로서 건설투자를 인식하고, 안정적 공급 시그널과 수요에 합리적 기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공급자 금융 시장에서는 위험의 적정 분담, 수요자 금융 시장에서는 단기 관리가 아닌 중장기 지원으로 전환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건설투자 1조원 신규 투자 시 다른 산업으로의 후방연쇄효과 8600억원, 1만5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 이에 따른 가계 소득(5250억원) 및 민간 소비(3400억원) 증가 등 연쇄적 파급 효과가 있다.
건설투자는 ▲경제 활성화 ▲산업 연관 효과 ▲기반 시설 구축을 통한 장기 성장 ▲고용 창출 효과 ▲부동산 시장 활성화 ▲정부 재정 수입 증가 ▲사회적 편익 증대효과 등의 효과가 나타난다는 게 건산연의 설명이다.
나 실장은 건설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공 시장에선 ▲도시·교통 물류 등 인프라 전반을 아우르는 장기 정책 방향 설정 ▲격차 해소 수단으로서 지역밀착형 SOC 예산의 확대 ▲국민의 재난 대비와 안전을 확보하는 노후인프라 개선, 민관(민간투자사업) 시장에선 ▲민간투자사업의 이미지 개선 ▲불가항력적 위험의 합리적 분담 ▲사업 발굴 방식의 다양화 ▲재정사업과의 역차별 부문 보완 등을 제언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쇠퇴기 건설산업의 위기관리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신성장전략연구실장은 '건설산업 환경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대응 전략'을 주제로 건설산업의 리스크관리 고도화와 변화관리 체계가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현재 건설산업의 위기는 쇠퇴기로 진입하고 있는 산업의 구조적 문제에 코로나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발생한 단기적 이슈가 더해져 발생했다"며 "건설산업은 산업생애주기가 쇠퇴기로 진입함에 따라 시장규모 감소와 수익성이 하락하고 있고, 선진국이 지니는 고임금, 고령화 등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최근 4년간 이어진 글로벌 악재로 건설자재 가격이 상승해 수익성이 더욱 악화됐다"며 "이러한 위기로 인해 건설산업은 다양한 리스크에 노출됐고,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인해 금리, 환율 등 재무적 리스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건설근로자, 건설자재 등의 운영리스크 해소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수익중심 전략과 리스크관리모델의 고도화가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건설산업의 업체별 역할모델에 대한 재구축과 변화관리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며 "이번 건설산업의 위기를 단기적으로 모면하고자 하는 접근 방식으로는 더 큰 위기를 불러올 뿐이며, 중장기적 해결방안을 기반으로 모든 이해관계자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