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
  • 0





[서울=뉴시스] 고가혜 기자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번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 화재 사고와 관련해 "화재에 취약한 소재를 쓰고 있는 공사를 전면 중단하고 화재에 튼튼한 소재 구조로 시공 방법을 바꾸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30일 오전 제2경인고속도로 북의왕IC 인근 방음터널 화재 사고 현장을 방문해 현장을 점검한 뒤 과천정부청사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서 사고수습 대책 점검 회의를 열고 "국가가 관리하는 55개 방음터널, 그리고 지자체가 관리하는 방음터널까지 전수조사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사고는 지난 29일 오후 1시49분 해당 방음터널 부근을 지나던 한 화물 트럭에서 난 불이 방음터널 벽으로 옮겨 붙으며 발생했다. 불은 출동한 소방당국에 의해 2시간20여분만인 오후 4시12분 완전히 진화됐으나 이 불로 인해 방음터널 830m 중 600m 구간이 모두 탔다. 이 사고로 5명이 사망했고, 안면부 화상 등 중상 3명, 단순연기흡입 등 경상 34명 등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이번 화재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진 데에는 방음시설의 천장과 벽면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이른바 '아크릴' 소재가 사용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열을 가열했을 때 녹는 성질을 가진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가 이번 화재의 불쏘시개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정부는 이번 화재와 같은 방음터널을 갖춘 도로는 총 49개소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철도터널까지 더하면 전국의 방음터널의 수는 55곳으로 늘어난다.

이와 관련해 원 장관은 "많은 국민들과 언론이 지적하신 것처럼 이번 사고는 방음 터널 소재가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것 같다"며 "소위 PMMA라는 아크릴 소재인데 여러 편리함이 있지만 화재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그동안 계속 지적돼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사고에서도) 순식간에 불이 붙어 벽과 천장을 타고 반대 차선으로 넘어가 불 기둥이 도로로 떨어져 내리고, 녹은 아크릴 소재가 여러 차량들에 달라붙는 양상이 벌어졌다"며 "게다가 순식간에 연기를 뿜어 고속도로를 주행하던 많은 차량들이 앞뒤로 불과 연기에 갇혀 이렇게 참혹한 사고로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2016년에 이미 전문연구기관에서 아크릴 소재의 화재 취약성 때문에 교체 및 배제를 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지만 어떤 이유에선지 채택되지가 않았다"며 "이후에도 인명 사고로 이어지지 않았을 뿐 수도권 터널 안에서 유사한 화재가 있었고, 이에 2021년 말 감사원의 지적이 있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토부는 2022년 1월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받아들여 전문기관에 용역을 발주, 올해 7월부터 용역이 이미 진행 중인 상황"이라면서도 "하지만 비용 이유라든지 채광이나 경관, 조명 등 다른 이유로 안전을 도외시하고 사고가 터지기 전까지 미뤄왔던 정부의 업무 태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미뤄져 온 것에 대해 정부 책임자로서 정부의 책임을 통감한다"며 "용역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정부가 행정적인 판단을 해서 이 부분에 대한 조치를 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번 사고를 계기로 더 이상 안전불감증, 그리고 비용 등 이유 때문에 안이한 방법으로 현상을 유지하는 관성적 태도를 버리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에 이미 만들어져 있는 방음터널은 전면 교체하거나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경우 부분적으로 내화성 도료 또는 보드, 아니면 상부개폐 방식 등 화재 대피시간과 구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안전조치를 대폭 보강하겠다"고 말했다.

원 장관의 설명에 따르면 구조체 변경 없이 패널만 아크릴에서 폴리카보네이트(PC)로 갈아끼우게 되면 100m 당 7억원 정도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한꺼번에 전면 교체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기에 취약성이 있는 곳들에 등급을 매겨 그에 따라 지침을 매길 것"이라며 "기존에 있는 방음터널을 당장 시공하려면 시간이 걸릴테니 그 전까지는 속도제한이나 통행상의 안전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기술적으로는 불가능이 없을 것이다. 다만 비용 면에서 여러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사람 목숨 값보다 귀한 것은 없다"며 "공사시 들어가는 비용뿐 아니라 이후 관리 비용, 사고가 났을 때 생기는 피해 비용까지 생각하면 비용 개념도 달라져야 할 것이고, 설사 비용이 든다 해도 사람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안전 최우선의 원칙 하에서 그동안 정부의 업무 태만으로 기준이 미비했던 것을 철저히 마련하고 전국에 화재안전 시설이 적용되도록 국토부가 모든 계획을 앞당겨서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출입이 통제된 구간의 통행 재개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화재로 변형된 방음터널 구조체 전체를 들어내고 다시 설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원 장관은 "아직 정밀감식도 끝나지 않았고, 감식과 안전진단이 끝나고 나면 구조체를 얼마나 교체해야하는지, 차량통행을 하면서 교체를 할 수 있는지 (시공) 공법도 정해야 한다"며 "잠정적으로 우리는 다 걷어내야 한다고 보고 있는데, 통행을 어느 부분까지 차단하고 우회를 시킬지 국토관리청, 경찰, 도로국과 협의해 시민 불편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보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ahye_k@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