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0
  • 0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전자상거래가 폭증하면서 전체 수입건의 약 90%를 차지하는 가운데 관세청이 전자상거래 전용 통관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관세청은 올 하반기부터 2년간 224억 원을 들여 '전자상거래 전용 수입통관 플랫폼'을 구축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기존 기업 간 무역거래(B2B)에 비해 다양한 공급망이 관여하는 전자상거래(B2C)의 특성을 수입통관 체계에 반영해 급증하는 전자상거래 통관 물량을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처리키 위해 추진된다. 전자상거래업에는 통신판매업자, 통신판매중개자, 구매·배송대행업자, 특송업체, 관세사 등 여러 업체가 연관돼 있다.

전용 플랫폼 구축은 ▲전자상거래 전용 수입신고서 신설 ▲공급망 기반 위험관리 체계 구축 ▲본인인증 체계 도입 ▲전용 포털(Portal)과 모바일 앱(App) 개발 등으로 추진된다.

전자상거래 전용 수입신고서는 기존의 일반수입신고서에 거래관계에 관여한 전자상거래업체 신고 항목을 추가하고 불필요한 일부 항목을 삭제해 전자상거래 특성에 적합하게 제작될 예정이다.

전용 플랫폼을 통해 관세청은 전자상거래업체의 물품을 신속통관, 국민들이 해외직구한 물품을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QR코드, 지문인증 등 본인인증 체계도입으로 물품 주문시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 우려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전자상거래 전용 포털(Portal)과 모바일 앱(App)이 구축되면 통관정보 조회, 실시간 민원상담, 세금조회·납부, 통계 제공 등 전자상거래 관련 원스톱 대민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직구는 지난 2022년 9613만건에서 지난해 1억 3145만건으로 37%나 증가하면서 전체 수입건수 중 89%를 차지하고 있다.

관세청 관계자는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자상거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 전용 플랫폼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며 "구축과정에서 전자상거래업계와 국민의 목소리도 충분히 수렴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ys0505@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