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241
- 0
[세종=뉴시스] 오종택 기자 = 정부가 작물 생산과 가축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농업 생산·유통·가공 시설의 에너지 효율화를 통해 2050년까지 농식품 분야 탄소 배출량을 900만t 감축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0월 수립된 국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2050년까지 농식품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2470만t) 대비 38%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이날 발표한 추진전략에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담았다.
◆DNA 기반 정밀농업 확산…친환경농업 면적 5→30% 확대
우선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저탄소 구조로 전환한다.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 등 이른바 D.N.A 기반 정밀농업 기술을 현재 30% 수준에서 전체 농가의 60%까지 보급한다.
우수농가 데이터와 AI 기술 등을 활용한 생육모델 개발을 위해 2025년까지 30개 품목, 1000개 농가의 빅데이터를 확보해 노지 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2024년부터는 지능형 농기계, 로봇 등 차세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R&D 사업도 추진한다.
화학비료 사용을 줄여 현재 5% 수준에 불과한 친환경농업 면적을 2050년까지 전체 경지면적의 30%까지 확대한다. 마을단위 농업환경보전활동을 강화해 환경 친화적 농업을 확산하고, 학교급식·로컬매장·대형유통업체·온라인마켓 등을 통해 친환경농업 체험이 가능한 유기농복합서비스단지 10개소를 조성한다.
토양·용수 등 농업자원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원 감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비료·농약의 적정 사용 환경을 구축하고, 2030년까지 토양 양분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2023년까지 바이오차(바이오메스+숯)의 효과를 검증하고, 2025년까지 대량공급을 위한 제조시설 구축과 인센티브 지급방안을 마련한다.
◆논물 관리로 탄소배출량 200만t 줄인다…축산 환경 대대적 개선
벼 재배, 가축사육 과정 등에서 사용하는 화학비료, 가축사료 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특성에 따라 식량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비료 감축, 물 관리, 저메탄사료 등을 활용한 감축할 계획도 담겼다.
체계적인 논물 관리를 통해 벼 재배 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을 2018년 630만t에서 2050년 431만t으로 감축한다. 2주 이상 간단관개를 실시하는 농지면적을 2030년까지 61%로 확대하기 위해 저탄소 인센티브를 개발한다.
과학적 적정 비료 사용으로 농경지에서의 아산화질소 배출량도 2018년 547만t에서 2050년 450만t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질소질 비료 감축 과정에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간 토양검정기관을 확대하고 토양 검정방법도 간소화해 나간다.
축산 분야에서는 저메탄 사료 보급을 확대하고, 적정사육밀도 유지와 사육기간 단축을 통해 가축 사육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447만t에서 2050년 198만t으로 절반 이상 줄인다.
국산 메탄 저감제를 개발하고, 2025년까지 사료기준을 마련해 감축효과 등을 검증한다. 저메탄사료 보급률을 점차 확대해 2050년에는 100% 저메탄 사료를 사용할 방침이다. 소 사육기간도 단축하고, 스마트 축사 보급률을 전업농의 50% 수준까지 확대한다.
가축분뇨 정화처리 비중을 높이고 에너지화를 통해 축산분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도 2050년 437만 t 수준으로 감축한다.
2022년까지 대규모 양돈농장의 정화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시설 설치비를 해당 농가에 우선 지원한다. 2030년까지 공동자원화시설을 210만t으로 확대하고, 공공형 에너지화 시설도 10개소를 설치한다.
농식품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도 최소화하기 위해 '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2025년까지 40개소로 늘려 지역 농산물이 해당 지역 내에서 소비될 수 있도록 한다. 2050년까지 로컬푸드 직매장을 1800개소로 확대하고, 로컬푸드 복합매장도 150개소를 설치한다.
◆생산기반시설 활용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노후 농기계 전기용 전환
2022년부터 집단화된 온실단지를 중심으로 산업폐열 등 재생에너지 공급을 확대하고, 온실 등의 에너지절감시설 보급 면적도 2019년 2만3000㏊에서 2050년 3만㏊로 넓힌다.
저온저장시설 등도 고효율 에너지 장치 설치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2050년까지 모든 농기계의 전기 동력화를 통해 19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한다. 2025년까지 노후 농기계 3만2000대를 조기 폐차하고, 단계적으로 전기용 농기계 2만5000대를 신규 보급한다.
농촌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보급과 함께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을 통해서도 저탄소 에너지 구조로 전환한다. 신규 감축기술을 개발하고, 저메탄사료, 바이오차 등 초기 단계인 신규 감축기술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저탄소 직불제 등 저탄소 기술이행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도 검토한다. 지역별 특성에 따라 탄소감축 체계를 구축하고,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마을단위로 탄소 감축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김종훈 농식품부 차관은 "농업 분야는 작물 생산과 가축 사육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감축 과정에서도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기후변화 완화의 시급성을 고려해 최대한의 목표치를 설정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hjt@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