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0
  • 0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정부가 다음 달 설 연휴를 전후로 노인 일자리 등 직접 일자리에 70만 명 이상을 조기 채용한다. 취약 계층의 고용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고용노동부는 1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용부 소관 '2024년 정부 일자리 사업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고용부에 따르면 올해 정부 일자리 사업 예산은 전년(30조3000억원)보다 3.8% 감소한 29조2000억원이다.

유사·중복 등 비효율적 사업을 구조조정하는 대신 취약 계층을 중심으로 맞춤형 취업 지원을 강화하는 등 일자리 사업의 상반기 조기 집행을 추진하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올해 전체 일자리 사업 161개(29조2000억원) 가운데 128개(14조9000억원)를 중점관리 대상 사업으로 선정했다. 이 중 1분기 37%(5조5000억원)를 포함해 상반기 67%(10조원) 집행을 목표로 설정한 상태다.

정부 관계자는 "태영건설발(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등 경기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일자리 사업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고, 집중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노인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직접 일자리'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직접 일자리는 정부가 세금을 투입해 만든 일자리로, 정부는 올해 118만 명 가량 계획된 직접 일자리의 90%(105만5000명)를 1분기에 제공하는 등 상반기에 97%(114만2000명)를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이 중에서도 70만 명 이상은 다음 달 설 연휴를 전후로 조속히 채용하기로 했다. 스쿨존 교통안전 지도 및 환경 정비 등 노인 일자리 63만 명, 자활 사업 4만 명,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3만5000명 등을 채용할 예정이다.

정부는 "일자리 사업 예산을 신속하게 배정하고, 참여자 선발 등 차질 없는 사업을 수행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조기 집행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청년 일자리와 관련해 고교 재학 단계부터 맞춤형 고용 서비스를 확대하고, 직무 경험을 중시하는 채용 트렌드를 고려해 일경험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청년이 부담 없이 국가기술자격시험에 도전할 수 있도록 응시료의 50%를 지원하고, 뿌리산업 등 빈일자리 업종에 취업한 청년에게 최대 2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 밖에 재택근무 및 시차 출퇴근 등 유연한 근무형태 활성화를 지원하고, 육아휴직 기간을 1년에서 1년6개월로확대하는 등 모성보호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kkangzi87@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대법원 특수 감정인 자격을 갖춘 데이터 복구 포렌식 전문

해산물 싸게 먹으려고 차린 회사! 당일배송! 익일도착! 주앤주프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