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10
  • 0





[서울=뉴시스]동효정 김민성 기자 = "상호 관세는 국가 간 사안이기 때문에 개별 기업의 대응이 어렵습니다. 그런 만큼 정부의 실무 협상을 통한 관세 인하 방안이나 긴급 지원책 등을 기대합니다." (국내 식품기업 관계자)

농림축산식품부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대응하기 위해 송미령 장관 주재로 '美(미) 상호관세 대응 K푸드 수출기업 간담회 회의'를 개최했다.

8일 농식품부는 오후 2시 양재 aT센터 5층 수급상황실에서 삼양식품, 대상, 빙그레, 풀무원, CJ제일제당 등 대미 수출 관련 주요 기업 16개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출 현황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지원 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농식품부와 기업 관계자들은 현 상황과 관련한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우봉 풀무원 총괄 CEO, 이승준 오리온 대표이사, 한세혁 삼양식품 구매·SCM 본부장, 심용태 대상 본부장 등은 오후 1시 30분부터 도착해 명함을 주고 받으며 현 대미수출 상황과 관련한 이야기를 나눴다.

정부에 어떤 건의사항 전달할 예정이냐는 뉴시스 질문에 이우봉 풀무원 사장은 "식품업계가 현재 갖고 있는 문제는 동일하다"며 "(미국이) 상호관세 25%를 매기면 살아남을 수 있는 기업이 없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이 사장은 "두부의 경우 미국의 원료를 사용해 수출하면 관세를 낮춰 준다든지, 수출량이 높은 면류는 예외 사항으로 무관세를 적용한다든지 다양한 협상 방안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세혁 삼양식품 구매·SCM 본부장은 "현재 기업끼리 대응하기엔 힘든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고, K푸드 인기 열풍을 이어가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협상을 잘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삼양식품은 미국 현지에서 '불닭볶음면' 제품 매출이 높아졌으나 현지 공장이 없어 관세 리스크가 높은 상황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조치에 따른 국내 기업의 영향과 대응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회의를 마치고 뉴시스와 만난 이 사장은 "정부가 명확한 논리 전개를 통해 미국과 협상을 잘 해내자는 큰 그림을 이야기했다"며 "(협상이 되면)업계는 각자 품목 기준을 따르자는 방향을 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풀무원은 수입쿼터제 확대를 요청했다"며 "면과 떡의 원료인 쌀 수입 쿼터를 늘리면 이를 제조해서 수출하는 방안과 해상운송비 등의 간접 지원 등에 대해서도 요구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이날 회의를 바탕으로 수출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리스크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원료구매 자금 추가 지원, 농식품 수출바우처 및 수출 보험 확대를 검토한다.

시장 다변화를 위한 유통업체 연계 판촉, 현지 박람회 참가, 온라인몰 한국식품관 입점 등의 온·오프라인 마케팅도 강화한다.

한편 미국 정부는 지난 2일 국가비상경제권법(IEEPA)에 근거해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한국·일본·유럽연합(EU) 등 주요 무역적자국에는 추가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 발표에 따르면 한국은 25% 관세(10% 기본관세 + 15% 상호관세)를 부과받을 예정이며, 관세조치 발효시점은 10% 기본관세 5일, 국별 상호관세 9일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vivid@newsis.com, kms@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YouTube Premium(유튜브 프리미엄) 월 4,500원 초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