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30
- 0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2022년 4분기 이후 5개 분기 연속으로 20대 이하 일자리 감소세가 지속되자 청년들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재정 투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증가세를 보이는 등 양질의 일자리가 많지 않아 청년들이 경제활동을 기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만큼 내년엔 올해 청년 일자리 예산으로 편성된 4조4000억원보다 더 많은 재정을 투입할 필요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4분기(11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임근근로자는 2074만9000개로 전년동기대비 29만3000개 증가했다. 임금근로자 일자리는 전분기대비 증가했지만 증가폭은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에서 24만9000개의 일자리가 늘었고 50대는11만3000개, 30대는 5만2000개의 일자리가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는 9만7000개, 40대는 2만4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코로나19 펜데믹 사태가 발생했던 2021년 2분기 이후 6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지만 2022년 4분기 이후 5개 분기 연속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청년 일자리 지속 감소는 인구수 감소가 원인"
통계청은 청년 일자리 감소의 원인에 대해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청년 인구수 감소와 무관하지 않다고 해석했다. 5~60대 보다 인구수가 적다보니 이들을 겨냥한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늘어나지 않는다고 봤다.
실제로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인구는 619만7486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는 5132만5329명 대비 12.31%에 불과했다.
50대의 경우 869만5699명으로 16.94%의 비중을 차지했고 뒤를 이어 40대(15.44%), 60대(14.87%), 30대(12.81%), 70대 이상(12.31%) 등보다 20대 인구는 낮은 상황이다.
20대 인구가 적다보니 보건·사회복지(10.7만개), 숙박·음식(3.9만개), 운수·창고(3.8만개) 등에서 증가한 일자리 대부분이 50대 이상 인구를 겨냥할 수 밖에 없었고 상대적으로 20대 일자리 갯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해석이다.
◆20대 이하 상용직↓ 일용직↑…"양질의 일자리 없어"
다만 일부에선 양질의 일자리가 적다보니 아예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안정적으로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 상용직이 줄어들고 임시 일용직이 증가세를 보이는 것이 주장의 근거로 내세운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청년층 취업자 389만9000명 중 단순노무직은 34만9000명에 달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가 57만4000명으로 제조업 취업자 55만5000명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20대 취업자가 가장 많이 종사했던 제조업이 아르바이트로 불리는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수보다 낮아진 셈이다. 다른 식으로 해석하면 청년들이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일자리를 선호하지 않는다고 볼 여지도 많다.
구직 활동을 하지 않아 실업자 통계에서 제외된 '그림자 실업자'도 증가세다.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지난해 1만1000명 늘어났다. 청년들은 '원하는 일자리 찾기 어렵다'는 점을 그림자 실업자가 된 이유로 꼽았다.
◆청년층 선호 일자리 창출위해 지원사업 체계화 추진계획
정부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청년 지원사업을 체계화하고 정책 연계 강화 및 유사중복 사업 조정을 통해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구상이다.
내년도 예산안에는 청년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진로탐색, 경력개발, 민관협업 일경험 활성화 등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재정 투입을 늘린다는 방이다.
또 미래산업 수요 대응을 위해 첨단·신사업 분야 청년 인력을 육성하고 대학과 지자체 협업을 통한 지역 맞춤형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한 예산도 전년대비 규모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노동시장 이중구조 및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원·하청 정규직·비정규직간 격차 완화, 인력난을 격고 있는 중소사업장과 업종에 대한 빈일자리 취업 및 외국인력 활용 확대 방안을 강구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올해 청년 일자리에 투입된 재정은 4조4000억원으로 전체 일자리 예산 29조2000억원 대비 15% 수준으로 내년에도 청년 일자리 창출 예산은 올해보다 많은 예산이 편성될 수 있다"며 "구직을 단념한 청년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 투입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