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4
  • 0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미국 내 공장을 보유한 글로벌 10대 완성차 업체의 추가 비용이 연간 510억달러(약 75조원)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다스 오닌도 노무라증권 리서치 애널리스트가 미국·일본·유럽·한국 등 주요 10개 자동차 업체를 대상으로 각 기업의 추가 비용을 예측한 결과, 이들 기업이 부담해야 할 추가 비용은 연간 약 510억달러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노무라증권은 미국이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일률 부과하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한 상황을 가정해 추가 비용을 계산했다.

분석에 따르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부과되는 관세로 인한 피해가 약 280억달러(약 41조1800억원)로 가장 컸다.

멕시코산 수입 비중이 큰 제너럴모터스(GM)의 추가 비용이 약 133억달러(약 19조5600억원)로 가장 커 영업적자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됐다.

마찬가지로 멕시코산 수입 비중이 큰 일본 자동차업체 마쓰다도 영업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요타는 연간 영업이익이 약 30%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닛케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의 대미 31조원 규모 투자 계획을 언급하며 "대미 투자가 관세 감면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명확해졌다"고도 짚었다.

앞서 현대자동차그룹은 24일(현지 시간) 향후 4년간 미국 내 210억달러(약 31조원) 규모의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자동차 생산 분야에 86억달러를 투자해 미국 내 생산 능력을 현재 연 70만대에서 120만대로 약 70% 늘릴 계획이다.

자동차 가격도 상승할 전망이다.

닛케이에 따르면 미국 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는 26일(현지 시간)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분을 공급망에서 흡수하지 못할 경우, 신차 1대당 판매가격이 최대 20% 상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콕스오토모티브는 같은 날 미국의 2025년 신차 판매량 전망을 1560만 대로 하향 조정했다. 연초 예상치보다 4% 감소한 수치다.

미국의 25년의 신차 판매 대수 예측을 1560만대로 연초 상정으로부터 4% 인하했다.

조나단 스모크 콕스오토모티브 수석 연구원은 "관세에 따른 무역 변화는 북미 자동차 생산에 큰 혼란을 주어 경제의 대폭적인 침체로 이어진다"며 "최악의 사태로 향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fe@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YouTube Premium(유튜브 프리미엄) 월 4,500원 초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