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11
  • 0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로 촉발된 미중 무역갈등이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보복 관세에 트럼프 대통령이 재보복 천명하면서다.

중국이 다시금 보복에 나설 경우 갈등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가뜩이나 불확실성에 휘청이고 있는 세계경제에는 또다른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 시간)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한 중국의 보복관세를 언급하며 "중국이 내일, 4월 8일까지 34% 인상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중국에 50% 추가관세를 부과하고 9일부터 발효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전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중국의 대미관세가 67%에 달한다며 3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취임 후 펜타닐 유입을 명목으로 중국에 20% 관세를 부과했는데, 압박 수위를 더 높인 것이다.

미국의 의중대로 대부분 국가가 협상에 팔일 걷어부친 반면, 중국은 지난 4일 미국산 수입품에 똑같이 34%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맞불을 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관세 발표 직후 "잘못 행동하고 있다. 그들은 패닉에 빠졌는데, 감당할 수 없는 일"이라면서도 즉각 재보복 조치를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주말이 보낸 후 이날 50% 재보복 관세를 꺼내들었다. 미 CBS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위협을 실행에 옮기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총 104%에 이를 것"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강 대 강 대치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앞서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에 "국제 무역 규칙에 부합하지 않고 중국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권익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 행위"라고 정면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보복을 위협했다고해서, 부당하다고 주장했던 상호관세를 받아들이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에 공개적으로 고개를 숙이는 모양새가 되는데,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 정부로서는 선택하기 쉽지 않은 선택지다.


그렇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한발 물러설 가능성도 크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후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고 실행에 옮긴 것은 중국이 처음이다. 만약 중국에 약한 모습을 보인다면, 다른 국가들의 반발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일종의 '시범 케이스'로 중국을 더 몰아붙일 유인이 있는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이 실제로 50% 재보복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 중국 역시 다시금 보복을 고민할 수밖에 없고 양국간 전면적인 무역전쟁이 벌어질 위험이 커진다.

최악의 경우 중국이 보유한 미 국채를 매각하겠다며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월 기준 7610억달러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외국인이 보유한 미국 국채의 약 10분의 1에 해당한다고 영국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만약 중국이 일거에 상당수 국채를 처분하게 되면, 미 국채 가격이 급락하고 금리는 치솟으면 막대한 타격이 가해지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중국 경제 역시 피해가 막심해 실현 가능성이 크지는 않다고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sympathy@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Disney+(디즈니 플러스) 월 3,500원 초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