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2
- 0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지난해 아파트 청약, 매매시장에서 중소형 면적에 가장 많은 수요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가 많다 보니 환금성이 높고, 분양가와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와중에 비교적 가격 부담이 적은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청약 시장에서 1순위 마감에 성공한 640개의 타입 중 약 76%(489개)가 전용면적 85㎡ 이하였다. 올해(26일 기준) 역시 1순위 마감에 성공한 51개 타입 중 약 65%(33개)가 전용 85㎡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비교적 가격 부담이 적은 중소형 면적에 수요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아파트 분양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2월 민간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민간 아파트 ㎡당 평균 분양가는 576만3000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 대비 0.21%, 전년 동월 대비 7.38% 상승한 수치다.
서울 민간아파트의 최근 1년간 ㎡당 평균 분양가는 1339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이를 3.3㎡(평)당 분양가로 환산하면 4428만4000원이다. 서울의 평균 분양가는 전년 동월 대비 16.92% 상승했다.
매매시장에서도 중소형 단지가 인기를 끌었다. 한국부동산원 거래 규모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아파트 매매거래량(49만2052건) 중 약 89%(43만9095건)가 전용 85㎡ 이하에서 거래가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가장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전용면적은 61~85㎡로, 전체 거래량 중 약 49%(24만399건)를 차지했다. 이어 ▲41~60㎡(34%, 16만7693건) ▲101~135㎡(7%, 3만6200건) ▲21~40㎡(5%, 2만6090건) 등의 순이었다.
올해 1월 매매거래 역시 지난해와 비슷한 양상인 것으로 나타나 올해도 내 집 마련 수요의 관심사는 중소형 단지가 될 전망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각종 이슈로 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분양가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수요자들은 초기 투자 비용이 적고 접근성이 높은 중소형 단지를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중소형 아파트는 매매거래도 활발하기 때문에 향후 환금성도 높아 투자 목적으로도 매력적인 옵션으로 손꼽히고 있다"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hong1987@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