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익명
- 963
- 0
출처 |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994832 |
---|
|
[스포츠서울 성백유전문기자] 스포츠윤리센터는 고 최숙현 선수 사건으로 국민적 분노가 극에 달했을 때, 정부가 대한체육회 스포츠인권센터 등의 기능이 한계가 있다는 이유로 만들었다.
거기에는 ‘혈연, 지연, 학연에 얽힌 스포츠인들은 믿을 수 없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관련 업무를 보강하기 위한 입법과 충분한 연구를 생략한 채 급하게 만들어졌다. 이 과정에서 스포츠인권센터 등의 기존 조사기관은 철저하게 배제됐다. 아예 문체부와 대한체육회의 기구를 없애버리면서 지난 8월5일 문을 열었다.
이때 많은 전문가들이 우려를 표했다. 기존 조사기구를 그대로 두면서 이를 보완할 더 큰 차원의 조사기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했지만 무시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스포츠윤리센터 출범 이후 문제점이 언론을 통해 보도됐으나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이숙진 이사장은 직원들과 계속 충돌했고, 출범 2개월 만에 노조가 결성된 것이다. 특히 인사에서도 검찰이나 경찰에서 조사경험이 많은 사람보다 정치권을 등에 업은 비전문가들이 낙하산 식으로 채용됐다.
스포츠윤리센터의 한 직원은 “최근 최윤희 문체부차관이 센터를 방문했는데 이사장과 큰 언쟁이 있었다. 이사장의 고성이 문 밖에서도 다 들릴 정도였다”고 털어 놓았다. 정부부처의 산하기관장이 차관과 언쟁을 한다는 것은 비상식적이다.
이숙진 이사장이 취임하면서 당초 무보수 비상근직이던 자리는 상근으로 바뀌었다. 이 이사장은 취임 후 자신의 월급을 연봉 상한액인 1억3000만원으로 책정했다. 직책수당 등은 별도다. 자신의 운전기사와 비서를 우선적으로 채용했다. 인건비가 부족해 출범한 지 4개월이 넘도록 직원 25명의 연봉계약조차 체결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법률전문가나 조사관, 전산직 직원 등 필수 인력은 뽑지도 못하고 있다. 직원들의 불만은 결국 폭발했고, 직원들은 내부 고발을 통해 외부의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지난 10월 26일 국정감사 때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은 스포츠윤리센터의 낙하산 인사를 지적했다. 그자리는 센터 내에서 이사장, 사무국장 다음의 3인자 격인 비리조사실장이다. 당시 김의원은 “스포츠 인권 및 스포츠행정 경험이 전혀 없는데 채용됐다”고 지적했다. A과장은 설립준비단에서 일을 했던 인물로 셀프선발 의혹을 받고 있다. 사석에서 본인 스스로 ‘평가표를 내가 만들었다’고 자랑, 직원들을 자극했다.
대한체육회의 스포츠인권센터는 연간 400건이 넘는 민원을 처리했었다. 이중 75%는 지자체 체육회로 이첩하며 25%만 조사했다. 그러나 스포츠윤리센터는 지방체육회에 이관하지 않고 직접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지금까지 스포츠윤리센터에 접수된 민원은 95건이다.
한 직원은 “밤 9시를 넘어서까지 일을 해도 업무가 많다. 당초 인원 책정 등 설계가 잘못됐다”고 했다.
전문가 부족도 문제다. 폭행 사실 등 조사에는 전산화 작업이 필수인데 이를 처리할 전산직이 없다. 문체부 파견 직원들이 맡고 있다. 창설을 서두르다보니 처음에는 전문조사관 2명으로 출범했고, 최근에서야 경찰재취업센터를 통해 경찰 출신 수사관 12명이 보강됐다. 위촉직인 그들은 고정급 월30만원에 사건 한 건 당 3일에 25만원의 수당이 책정돼 있다. 김성배 위원장은 “조사를 시작해서 3일만에 해결되는 민원은 없다”고 했다.
한편 본지는 사실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스포츠윤리센터 안승섭 사무국장 등 직원들과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답하지 않았다.
sungbaseball@sportsseoul.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