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4
  • 0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봄철 해빙기를 맞아 지반이 약해지고 굴착공사가 활발해진 틈을 타 도심 곳곳에서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줄을 잇고 있다.

서울, 경기, 부산 등 사고지점이 모두 도심 내 굴착공사가 진행되는 곳인 만큼 철도 등 지하 개발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 대형 싱크홀이 발생한 이후 이날까지 경기도 광명 터널 붕괴, 부산 사상구 학장동과 감전동, 서울 마포구 아현동 등에서 싱크홀 등 지반침하가 잇따랐다. 불과 약 3주 새 도심 지반침하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통상 2월 말부터 4월 초에 해당하는 봄철 해빙기에는 땅이 물러져 지반구조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지반침하, 건물 균열, 배관 파열, 옹벽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지난해 8월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같은 해 9월 부산 사상구 학장동에서도 싱크홀이 발생한 바 있다. 이에 도시의 노후화와 도심의 무분별한 지하개발도 지반침하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낡은 상하수관의 누수로 토사가 유실되는 경우가 많은데 전국적으로 20년 이상 된 노후관이 전체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고밀개발된 서울의 경우 지난 3년간 싱크홀 신고가 2023년 67건에서 2024년 251건으로 3배 넘게 늘었다.

토목업계에서는 도심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굴착공사 중 시공 부주의나 시공기술 미흡, 지하수 유출, 급격한 지층의 변화에 대응 실패, 토류 시스템 구성품의 문제 등으로 인해 각종 지반함몰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땅) 위로는 거의 다 개발되고 더 위로 올리고 있으며 지하도 어느 정도 개발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 깊은 지하, 대심도 지하 개발이 앞으로 더 성행한다면 더 위험하다"며 "주변에 공사를 했거나 상하수도·배관이 있어 공동구가 형성된 곳, 원래 매립지였던 곳 등 세 가지 주요 싱크홀 원인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 등 수도권은 수도권광역철도(GTX)를 비롯해 철도 지하화, 지하공간 복합개발 등 굵직한 지하개발 사업이 예고된 상태다. 우려가 커지자 서울시도 명일동 싱크홀 사고 이후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4.1㎞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4㎞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1.0㎞ 구간 등에 대해 집중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지반침하 고위험지역에 대한 지반탐사 등 예방활동과 도로 및 시설물 균열 등 전조 현상에 적극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월 '지하안전관리체계 TF'를 출범하고 지반침하 고위험지역을 정해 중점 관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같은해 12월 수립한 '제2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에는 ▲고위험지역의 선정·관리 기준 마련 ▲안전점검 실시주기 5년에 1회에서 연 2회로 단축 ▲공동(지반 빈 공간)조사를 매년 4200㎞ 규모로 확대해 2029년까지 총 2만㎞ 탐사 등의 계획을 담았지만 이후로도 사고가 잇따르는 상황이다.

지자체의 소극적인 대처도 논란이다. 국토부는 서울시 등 지자체에 지반침하 특별점검이 필요한 지역을 자율적으로 조사해 제출하도록 했으나 25개구 중 8개구만 고위험지역 50곳을 제출했으며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작성하고도 "집값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아 빈축을 샀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Disney+(디즈니 플러스) 월 3,500원 초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