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CoinNess
  • 20.11.02
  • 8
  • 0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직접 발표한 가운데, 백악관의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의 상호관세율이 명시돼 있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통상 당국은 미국 대사관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 중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3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미국 워싱턴D.C 시간이 새벽이라 확인에 애로가 있는데, 미국 대사관 통해 알아보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간) 백악관 경내 정원인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를 개최하고 국가별 상호관세 명령에 서명했다. 한국의 대미 관세가 50%에 이른다고 주장하며 25%의 상호관세를 한국산 수입품에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국가별 관세율표에도 한국은 25%로 표기됐다.

다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한국의 상호관세율이 26%로 게시됐다.

우리나라 외에도 인도, 스위스,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파키스탄, 세르비아, 보츠와나 등도 트럼프 대통령이 들었던 도표보다 관세율이 1%포인트(p)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정부는 이날 발표된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우리 수출에 피해가 예상되자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2시간 만인 이날 오전 7시 긴급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개최했다.

한 권한대행은 산업·통상 주무 부처인 안덕근 산업부 장관에게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을 업종과 기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대미 협상에 힘 써줄 것을 지시했다.

안 장관도 긴급 경제안보전략 TF회의에 이어 자동차·반도체·배터리·철강 등 주요 업계를 비롯해 경제단체, 연구기관들과 관세 조치 영향을 분석하고 대책 수립을 논의했다.

안 장관은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미국의 관세조치가 우리 경제 및 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업종별 지원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정부는 통상교섭본부장 방미를 포함해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arming@newsis.co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전국 휴대폰성지] 대한민국 TOP 성지들만 모았습니다.

YouTube Premium(유튜브 프리미엄) 월 4,500원 초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