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2
- 0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농촌진흥청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비료 효율도 높일 수 있는 '깊이거름주기' 보급 확대를 가속화한다.
농진청은 19일 충남 공주시에 있는 현장 실증연구 논 시험 재배지에서 '깊이거름주기 장치 시연회'를 개최하고 농가 시범 보급 현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공주는 신기술 시범 사업으로 조성한 밭작물 유해 물질 발생 저감 실천 시범단지 9곳 중 1곳이다.
이날 현장을 찾은 권재한 농진청장은 농가에서 깊이거름주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개발한 장치 시연회를 지켜본 후 깊이거름주기 기술 시범 보급 현황을 보고 받았다. 이어 농업인, 지방 농촌진흥기관 관계자 등과 기술의 효과, 개선 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권재한 청장은 "깊이거름주기는 농가에서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손쉬운 저탄소 농업기술"이라며 초미세먼지 발생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비료 효율을 높이는 깊이거름주기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이어 "올해부터 신기술 시범 사업으로 깊이거름주기 기술을 24개 시군 마늘·양파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현장에서 쉽게 쓸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보급해 농업 분야 탄소중립 실현,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농진청이 개발한 깊이거름주기는 토양을 25~30㎝ 깊이로 파 비료를 투입하는 기술이다. 깊이거름주기 장치는 70마력 트랙터에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쟁기 작업과 동시에 밑거름으로 사용하는 비료를 토양에 투입한다.
이렇게 하면 질소비료가 공기와 접촉해 생성하는 암모니아 기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암모니아는 공기 중 다른 오염물질과 결합해 초미세먼지를 만든다. 아울러 질소비료의 효율을 높여 질소비료 사용량 증가에 따른 온실가스(아산화질소) 발생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지난해 현장 실증 결과 흙갈이 후 흙에 비료를 섞어주던 기존 방식보다 양분 흡수율이 높아져 양파는 52%, 마늘은 32% 생산량이 늘었다. 또한, 밀, 양파, 풀사료 옥수수를 재배할 때 웃거름을 생략해 질소비료 사용량을 22~25% 줄일 수 있었다.
농진청은 기술 적용 작물을 올해 5개 작물에서 2027년 9개 작물까지 확대하고 신기술 시범 보급도 늘려나갈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hlim@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