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CoinNess
- 20.11.02
- 1
- 0
[세종=뉴시스]임소현 임하은 기자 = 정부가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을 1%후반대로 전망하며 건설투자의 감소세가 지속될 가능성을 내놨다. 내수 회복 지연 속 건설경기 악화가 더해진데다 수출 증가세마저 둔화되며 우리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본격 진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건설업 부진과 수출둔화 영향으로 올해 고용 역시 지난해보다 축소될 전망이다. 올해 물가상승률은 1.8%로 지난해(2.3%)보다 둔화하지만 지정학적 갈등, 기상 여건 등 물가 상승을 부추길 불확실성도 상존했다.
정부는 2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건설투자 1.3% 감소…대내외 불확실성에 소비심리 위축 가능성
올해 경제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로는 건설경기 부진과 소비 회복속도 지연 등이 꼽힌다.
건축은 아파트 입주물량 감소로 인한 주거용 건물 중심 부진 지속이 예상된다. 반면 토목은 수도권 GTX, 3기 신도시 등 주요 공공사업 공사 실적이 반영돼 감소폭이 일부 완화될 전망이다.
올해 민간 소비도 1.8% 증가에 그칠 것으로 봤다. 지난해 고물가와 고금리 영향이 누적되면서 재화소비를 중심으로 회복속도가 더딘 모습을 보여왔는데 올해는 가계 실질구매력이 개선되며 점차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다만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높은 가계부채 수준 등이 개선폭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김재훈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내수는 고물가·고금리 개선으로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최근 경제심리 위축이나 부진한 건설경기가 언제부터 회복될 건가 등 불확실성이 상당히 있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2.9%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첨단업종 투자 수요, 통화긴축 완화 등으로 증가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다만 최근 수출 증가세 둔화, 미 신정부 출범 등에 따른 경영환경 불확실성 확대가 증가세 제약 요인이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역시 3.8% 증가가 관측된다.
◆물가상승폭 1%대로 둔화…취업자 수 증가폭도 올해보다 축소
올해 소비자물가는 1.8% 상승할 것으로 점쳤다. 지난해 상반기 농산물·석유류 등 상방압력이 다소 확대됐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공급측 요인 완화로 하향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는 이 같은 둔화흐름을 이어가며 지난해(2.3%)보다 낮은 수준의 상승률이 전망된다. 국제유가 등 공급측 물가상승 압력이 크지 않은 가운데 경기적 요인에 따른 압력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추측이다.
다만 지정학적 갈등, 기상여건 등에 따른 원자재·농산물 가격 변동성 등 불확실성이 남아있다.
올해 취업자 수는 12만명이 늘면서 지난해 증가폭보다 다소 축소될 전망이다. 다만 고용률은 여성·고령층 경제활동 확대로 높은 수준(62.8%)을 지속할 것으로 예측된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물가의 경우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지난해보다 둔화된 1.8%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잠재돼 있다"며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보다 축소된 12만 명 수준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 "소비심리 냉각…고환율에 물가상승률 1%대 깨질 수도"
전문가들은 올해 탄핵정국과 미 신정부 출범 등 내수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고환율이 지속되거나 소비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상황이 지속되면 물가상승률 둔화흐름이 깨질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내놨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물가는 1%대로 올해보다는 좀더 낮아질 수 있다"며 "변수는 환율문제다. 환율이 높아진 상태가 오래가면 생산원가, 유가가 오르면 정부가 전망하는 1%대가 깨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건설 경기는 부동산도 안 좋기 때문에 어렵게 보고, 수출은 트럼프 정부가 1월20일 출범하면 다 예상하고 있는 부분이 (통상정책을) 더 강도높게 할지 여부인데, 그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결국 국내 생산 설비 투자는 이뤄지지 않고 해외로 가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면 국내 경기 문제는 여전히 어렵다"고 말했다.
김우철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는 "탄핵 정국이 들어와서 소비 투자 심리가 급격히 냉각돼 사이클(경기순환)의 바닥이 빨리 드러날 수 있다"며 "내수 진작을 위한 실효적 방안은 사실상 한계에 온 것 같다. 약간의 재정 확대와 세제만으론 어렵다"고 우려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hlim@newsis.com, rainy71@newsis.com
댓글 0
추천+댓글 한마디가 작성자에게 힘이 됩니다.
권한이 없습니다.